[개요]

국민들의 치안 안전을 위해 각종 치안 정보를 통합 · 분석하여 경찰에 신고된 사건의 유형과 위험 수준을 초기 인지하고 주변 인물 관계 범죄 발생 주요 요인을 분석하여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ICT 융합 기반의 지능형 범죄 위험도 예측 및 대응 기술



[기술 특징]

־ 범죄 유형 및 위험도 예측 기술 : 정형·비정형 데이터 형태인 사건 보고서와  치안정보 데이터뱅크에 구축된 기존의 범죄 유형과의 유사한 정도를 분석하여 계층화된 범죄의 유형을 자동으로 탐색/분류하여 사건의 위험도를 예측하는 기술

־ 용의자 인물관계 생성 및 시각화 기술 : 기존에 알려진 범죄자들의 관계를 분석하여 휴먼 네트워크 및 범죄 조직 네트워크 관계 정도를 생성하여 용의자 및 범죄조직의 위험성(중심성, 활동성, 심각성등)을 분석하고 시각화하여 표현하는 기술

־ 범죄위험 스코어 산출 기술: 전문가의 범죄 분석을 통한 경험적 통계치 및 범죄 데이터의 학습을 통하여 시공간 범죄의 위험지수 및 안전지수를 개발하여 사건 현황에 따른 위험 수준을 수치적으로 산출하여 제시하는 기술

־ 다변량 시계열 모니터링 및 주요 범죄 요인 진단 지원 기술 : 여러 가지 범죄 요소들의 상관관계를 고려하여 시계열 데이터들을 모니터링함으로써 주요 범죄 요인의 진단을 지원하는 기술

־ 치안 데이터뱅크 통합 관리 기술 : 경찰청에서 보유한 첨단 범죄 수법 보고서, 범죄 분석 보고서, 범죄예방 보고서, 초동수사 보고서 등 정형, 비정형 형태의 사건 보고서를 분석·통합하여 표준화된 치안정보 데이터뱅크에 통합 구축 및 관리하는 치안 빅데이터 처리 기술